network

3 tier 네트워크 인프라, ethernet fabric architecture, 웹 서비스를 위한 3tier, HAproxy

ruiH 2022. 1. 26. 14:39

3 tier 네트워크 인프라
기본적인 레거시 인프라의 큰 단점은 컨버전스 시간이다. 
대량의 트레픽이 많아지는 추세기에 이제는 이런 구조를 취해서는 안된다.
즉, STP가 필요 없는 구조 -> blocking이 나오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야 함.

예전에 많이 씀
요즘에 많이 씀


ethernet fabric architecture
직물구조 : 격자무늬로 fabric module이 들어감

 

 

웹서비스를 위한 3tier 

웹서버  <->   웹어플리케이션서버 <-> DB서버

front-end                 WAS               back-end

                   계산, 프로세스 처리

 

 

HAproxy 

HAproxy 오픈소스로 구성가능한 LB 로드밸런싱 (proxy =대리인)

         HAproxy              sw     웹서버    sw    WAS     sw     DB
공인IP        사설IP
5.5.5.5(80)  10.10.10.1

NAT할 필요 없음 웹서버는 10.10.10.1과 통신하면됨 

 

* HAproxy에서 세션 유지 기술?

(session을 통해서 페이지가 넘어가도 로그인 정보 유지)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4계층 , 이더넷 프로토콜 (Ethernet protocol) , IP(Internet Protocol)  (0) 2021.10.13
OSI 7계층  (0) 2021.09.24
디지털과 아날로그  (0)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