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TF : RFC 문서로 표준화 -> OSI 3-7 계층 사이 표준
IEEE : IEEE 분과. 상세 분과 버전(a,b,c) => OSI 1-2 계층 사이 표준. IEEE 802(LAN/MAN)
PAN : Personal Area Network (Hotspot, LTE egg)
LAN : Local Area Network (소규모 네트워크)
MAN : Metro Area Network (도시 대 도시 연결)
WAN : Wide Area Network (주대 주연결, 국가대 국가연결) ->ISP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프로토콜 : 네트워크 상에 있는 디바이스 사이에서 정확한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하기 위한 일련의 네트워크 상의 규칙들.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타이밍(timing)으로 구성됨
Protocol Data Unit (PDU) : L1 = bit, L2 = Frame, L3 = Packet, L4 = Segment
OSI 뜻 Opem System Interconnection
OSI 7계층
Layer 7. 응용계층 Application Header
Layer 6. 표현계층 Presentation Header
Layer 5. 세션계층 Session Header
Layer 4. 전송계층 Transport Header
Layer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Header
Layer 2. 데이터링크계층 Data Link Header
Layer 1. 물리계층 Physical Layer
각 계층은 해당 계층의 Header를 만들고 제거할 수 있음
상위 계층 장비는 하위 계층의 역할을 할 수 있음
L1 물리계층, Physical Layer
(1) Media(전송매체)를 통해 전기신호, 광신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bit(즉, on 1/off 0)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
(2) 구분없이 연결만되면 모두 전송
(3) 케이블, 리피터, 멀티포트리피터(허브), 컨버터
(4) 인터페이스 및 전송매체의 기계적 전기적 규격을 규정하는 것
L2 데이터링크계층 , Data-link Layer : Header와 Tail이 같이 붙음
(1) Hop(두개의 노드 사이의 데이터 패킷 통로) 사이의 데이터를 오류 없이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계층
(2) 시스템 내에서 통신하던 논리적 단위 구성을 비트로 변경하거나 비트신호를 논리적 단위로 구성하는 계층
(3) 논리적 단위 Frame 프레임이라 부름
(4) 프레임에는 L1이 구분없이 전송을 하기 때문에, L2는 구분을 하기 위해 프레임에 주소를 추가
(5) 현재 L2의 국제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ethernet은 구분 주소로 MAC 주소를 사용 물리적 주소
(6) L2는 이웃한 장비하고만 통신할 수 있음
(7) 인접한 장치 간에 오류검출, 회복, 제어 등을 담당
L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1) L2는 이웃한 장비에게 전달을 하는 홉대홉 전달만을 하기 때문에 최종 목적지까지 변하지 않는 주소를 지정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수행
(2) Best effort, Best Path
(3) 목적지(Destination, 도착지, 수신자)까지 변하지 않는 논리적 주소를 지정
(4) 호스트대 호스트 전달
(5) 오류 수정, 흐름제어와 같은 일은 하지 않는다. 비신뢰성 통신 unreliable
L4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1) 서비스와 서비스 사이의 연결 -> process와 process 사이의 전송통로를 만들어 줌
서비스 = 프로그램 = process
(2) process를 구분하기 위해 port 주소를 이용
택배물 받을 때 집주소를 L3, 받는사람 이름을 L4 주소라고 생각하면 쉬움
(3) L3 오류제어나 흐름제어를 하지 않기 때문에 L4계층에서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진행. reliable
(4) 패킷을 분할, 재조립하는 역할도 수행
(5) 단 대 단 통신
L5 세션계층 Session Layer
(1) 연결 유지 관리
(2) 전송단위 : 메세지 message
L6 표현계층 Presentation Layer
(1) 부호화, 암호화, 압축, 데이터형식(코드, 확장자)
(2) 응용계층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형식, 암호, 압축등을 담당하는 계층
L7 응용계층 Application Layer
(1) 프로그램
(2) 사용자에게 interface(client) 와 service(server)를 제공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tier 네트워크 인프라, ethernet fabric architecture, 웹 서비스를 위한 3tier, HAproxy (0) | 2022.01.26 |
---|---|
TCP/IP 4계층 , 이더넷 프로토콜 (Ethernet protocol) , IP(Internet Protocol) (0) | 2021.10.13 |
디지털과 아날로그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