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TCP/IP 4계층 , 이더넷 프로토콜 (Ethernet protocol) , IP(Internet Protocol)

ruiH 2021. 10. 13. 22:51

TCP/IP 4계층

응용계층 (application layer) - HTTP , FTP , telnet , SMTP , DNS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 TCP , UDP

시스템에서 여러 process 구분할 주소가 필요 ->port 주소

 

인터넷계층 (internet layer) - IP , ICMP , ARP

네트워크 계층이라고도 함. 

네트워크 계층에서 host장비를 구분할 주소가 필요 ->IP주소

 

링크계층 (link layer) 

네트워크 접속 계층이라고도 함. 물리주소

1계층 : 주소가 없음, 연결되면 모두 전송

2계층 : ppp, hdlc, frame-relay 같이 serial 연결은 기본적으로 1:1 연결로 주소가 필요없음

Ethernet multiple access(다중접속) 기본적으로 생각하고 만든 프로토콜로 각각의 장치들을 구분할 주소가 필요 -> MAC 주소


주소의 형식

2계층 MAC 주소 : 48bit 구분하기로

24bit : 24bit

=== 회사에서 ICANN으로부터 구매 사용하는 주소

OUI : Organization Unique Identification (회사코드)

16진수로 표기하고 12개의 16진수를 2개씩 묶어서 필드로 구분

AA-(or :)BB-CC-DD-EE-FF (Cisco AABB.CCDD.EEFF 형태로 표기)

 

3계층 IP주소 : IPv4 32bit 구분하기로함 IPv6 128bit 구분하기로함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된다

IPv4 8bit 4개의 필드로 구성이 되어 있고 8bit 10진수로 변경해서 부르기로

0.0.0.0~255.255.255.255

IPv6 128bit 16진수로 표기하고 16진수 4개씩 묶어 12개의 필드로 구분

AAAA:BBBB:CCCC:DDDD:EEEE:FFFF:0000:1111:2222:3333:4444:5555


Ethernet Protocol : 흔히 랜이라고 부르는 네트워크 구간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사이에서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Ethernet Protocol 주요기능 

정보전달 : 인접 노드간 데이터 전송

회선제어 : 신호간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 (ENQ/ACK기법 , 폴링기법)

흐름제어 :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속도차 보상 (Stop and Wait , Sliding Window)

오류제어 : 물리 전송 특성상 발생하는 오류와 잡음에 대한 보정 (FEC, BEC, ARQ)

주소지정 : 송신자와 수신자의 물리주소 삽입 (MAC Address)

접근제어 : 여러 시스템 연결 시, 링크 점유 시 사용 (CSMA/CD , CSMA/CA)

             현재는 송수신로를 따로 만들어 전화와 같은 형태의 통신 방식을 취하고 있음 ( full duplex) 그렇기 때문에                   CSMA /CD 사용하지 않음.


IP (Internet Protocol) :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

신뢰성(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이 전혀 없음. 

IP(Internet Protocol) 주요기능 : Routing, Addressing, Fragmentation, Defragmentation, Capsulation

 

 

IP 주소 : 공인으로 되어있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부여된 고유의 주소

IP 주소는 Network 부분과 Host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음.